진료문의
24시간 요로결석 문의 02·534·1101
증상이 비슷해도 전혀 다른 질환으로 진단될 수 있기때문에,
서울원에서는 비뇨의학과 전문의가 면밀한 진단으로 치료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귀두포피염은 음경의 끝부분인 귀두와 이를 덮고 있는 포피에 염증이 생긴 것을 말합니다.
특별한 처치를 하지 않아도 저절로 회복되기도 하는 국소적 피부염입니다.
포경수술을 받지 않은 남아에게 자주 발생하며, 특히 기저귀를 차거나
음경을 만지는 습관이 있는 아이들에게 흔하게 나타납니다.
포피에 붙어있는 분비샘에서 배출하는 분비물들이 분비샘 밖으로 나오지 못하고 안에 쌓이던 귀두포피염이 발생하며
대개 포피륜이 좁은 사람에게 많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포피륜이 좁아 귀두 뒤로 잘 젖혀지지 않으면 귀두의 겉 피부와 포피안쪽의 피부 사이에
소변이 찌꺼기가 쌓이기 쉬운 조건이 되기 때문입니다
특징적인 육안적 소견으로 인해 신체검사만으로 진단을 하게 된다.
염증의 원인균 감별을 위해 소변검사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성 포경 및 가성 포경 여부, 포피가 좁은 경우,
귀두와 포피사이 이물질(smegma)여부를 확인합니다.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낫는 경우가 많습니다. 염증 부위를 만지면 통증이 있지만
조심스럽게 따뜻한 물로 깨끗하게 씻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씻고 난 후에는 귀두 표면을 잘 건조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국소적 항생제 연고나 경구용 항생제를
투여하면 치료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재발이 잦은 경우에는 염증 치료가 끝나고
포경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소항생제 및 경구용 소염진통제 투여하여
자연적으로 호전을 기대합니다.
귀두와 포피 사이 이물질 많을시 미리 제거해 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인 경우 sleeve 방식을 이용한 원스텝으로
시행하나 진성포경의 경우 귀두 노출후 투스텝으로
포경수술을 시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