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문의
24시간 요로결석 문의 02·534·1101
증상이 비슷해도 전혀 다른 질환으로 진단될 수 있기때문에,
서울원에서는 비뇨의학과 전문의가 면밀한 진단으로 치료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고환은 정관, 혈관, 신경의 다발인 정삭에 매달려 있습니다. 고환이 정삭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동맥이 꼬여 고환에 피가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를 고환염전이라고 합니다.
고환이 꼬이는 현상은 어느 나이에도 생길 수 있지만, 특히 고환이 급속히 성장하는 12~18세 사춘기에 주로
발생합니다. 급격한 통증으로 시작되며, 4~6시간 이내에 꼬인 혈관을 풀어주지 않으면
고환이 죽어버릴 수도 있기 때문에 빠른 대처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고환염전은 고환과 부고환이 정삭을 싸고 있는 근막이나 근육에 제대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자유롭게 매달려 있는 경우에 주로 발생합니다. 또는 고환 올림근이 갑자기 수축하여 정삭이 지나치게
회전하거나, 잠복고환 환자나 음낭을 다친 경우에도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대부분은 자는 중에
생하여 새벽에 응급실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격한 고환 통증이 발생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음낭 피부가 붉어집니다. 통증은 아랫배로 확산되고,
심하면 메스꺼움이나 구토가 나기도 합니다. 고환은 점점 커지고 만지면 상당한 통증이 발생합니다.
고환을 위로 올리면 통증이 더 심해지고 부고환의 위치도 바뀌어 있습니다.
음낭이나 음낭위에 고환이 만져지는 경우 고환을 아래로 당겨 음낭에 위치시킨 후
바로 올라가면 고환염전에 해당되며, 일정기간 또다른 자극 없이
음낭에 유지되면 퇴축고환으로 즉, 정상 고환으로 간주합니다
고환통증과 관련된 염증에 대해
검사하게 됩니다
고환염전 감별을 위한 고환 및
부고환의 혈류 여부를 확인합니다
고환염전이 의심되면 1차적으로 손으로 꼬인 것을 풀어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환염전이 성공적으로 풀렸더라도 다시 고환염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로 다시 꼬이지 않도록 고정해 주어야 재발까지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고환염전이 시작된 후 4시간 이내에도 고환의 괴사가 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치료는 가능한 빨리 시행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환염전 환자의 30%정도에서는
반대쪽 고환염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술시에는 반대쪽 고환의 상태도 확인 후,
고환고정술을 함께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