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문의
24시간 요로결석 문의 02·534·1101
서울대 의대 졸업 비뇨의학과 전문의가
성병의 원인균을 치료합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원인인 질환으로 성기보다는 구강으로 많이 전염되며 흔히 입술 물집이라고 여겨지는 질환입니다.
한번 감염되면 체내에 잠복감염 상태로 남아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 바이러스가 재 발생하여 재발하게 됩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손상된 피부나 점막으로 침투하여 감염되며,
감염 후 피부 내에서 증식 한 뒤 주변의 신경 세포로 침투하게 됩니다.
이후 잠복하여 있다가 입이나 생식기에 작은 수포와 같은 증상을 만듭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 1형의 증상은 입이나 입술 주변, 구강내 점막 등에 단순 포진으로 발생하며,
2형의 경우에는 생식기 주위의 물집, 피로감, 무력감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헤르페스는 수포가 있을 때 가장 전염력이 높으며,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성 접촉을 한 경우
50~70%에서 전파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임신 중 헤르페스에 감염되면 태아에게 전염시킬 가능성이 아주 높아지며,
신생아에게 뇌염, 간질, 영구적인 뇌 손상 등을 일으킬 수도있습니다.
단기 및 장기 항체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여
1형, 2형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단순 헤르페스 뿐만 아니라 다른
성병 동반 여부도 확인 합니다.
서울원비뇨의학과에서는 바이러스별로 치료법에 차이가 있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를 위해
정확한 원인균 분석으로 치료와 예방치료를 진행합니다.
면역력 증장으로 시간이 지나면 증상은
자연히 호전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트레스와 피로, 기타 면역저하상태가 되면
다시 재발하여 완치가 되지 않는 감염증입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 증의 핵심 치료방법은
헤르페스가 생긴 지 첫 48시간내에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는 항바이러스제
투여가 필수적입니다.